2021 근대 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

(사)근대도시 건축연구와 실천을 위한 모임 + (사)새로운문화를실천하는건축사협의회

D+1554

2021년 03월 02일 ~ 2021년 04월 23일 마감

📌

대외활동 사기? 대외활동 거르고 고르는 방법 & 요즘것들 '신호등' 기능 추가 보러가기

2021 근대 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

<전남, 일신방직의 산업유산적 가치와 새로운 도시재생의 방향>

 

1. 공모전 취지 및 배경

 대상지

광주광역시 북구 전남, 일신방직 공장부지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약칭 근대도시건축연구회)’과 (사)새건축사협의회는 “전남, 일신방직의 산업유산적 가치와 새로운 도시재생의 방향” 이라는 주제로 「2021 근대 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한다.

 

산업화와 거리가 멀었던 식민지하에서 의식주와 관련된 산업이 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그 중에서 제사공장과 방직공장이 대표적인 산업시설이었다. 1920~30년대 한반도의 주요 도시에는 예외없이 제사공장과 방직공장이 들어섰다. 특히, 전남은 면화생산과 노동력 확보의 용이함으로 인해 방직공장의 적지였다. 주야 12시간 2교대 조업을 전개할 정도로 생산성이 높았지만 이는 곧 식민지하 노동 현실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1935년에 건설된 종연방직 전남공장은 1948년 전남방직공사로 명명되었고 1951년 민간에 불하되어 1952년 전남방직주식회사로 발족했다. 노동자가 많을 때에는 4천명에 이르렀다. 1961년에 전남방직과 일신방직으로 분할되었다.

 

전남+일신방직 공장은 시민들에게 일제수탈의 아픔의 현장이지만 해방이후 광주 전남지역 산업의 상징으로 애증이 교차하는 공간이다. 공장이 멈춘지 오래지 않아 공장 곳곳에서는 노동자의 온기가 느껴지는 듯한 공장이다. 공장의 일부 시설은 근대산업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다. 특히 광주에 마지막으로 남은 근대산업시설이며 여성 노동자들의 삶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장소이지만, 동시에 이 땅에 마지막으로 온전하게 남아있는 방적공장이기도 하다.

 

10만평에 달하는 상당하는 넓은 부지에 위치한 전남+일신방직은 공장 뿐 아니라 기숙사와 사택 그리고 보육과 교육시설 및 의료시설과 교회에 이르기까지 산업공동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도심과 광주천 인근에 위치한 거대한 시설군이 도시적 맥락에서 개발과 도시재생이란 화두를 던지고 있다. 동력을 제공하는 화력발전소, 방적공장 생산라인의 습도유지와 기숙사 난방을 위한 설비와 보일러실, 극락강에서 가져온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고가수조 등은 이제는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없는 1930년대 산업시설이다. 가정을 돌보면서 동시에 산업전사로서의 역할을 마다한 여성노동자들의 오랜 노동에 지친 모습과 산업화시절의 역동성이 공존하는 공장과 숙소, 화순에서 석탄을 옮겨온 철도, 종교시설, 국기게양대 등 이대로 버려지거나 잊혀질 수 없는 흔적들이 곳곳에 남아있다. 이들은 오래되고 낡은 것이 아니라 오늘의 우리가 존재할 수 있는 근거였고,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유산이다.

 

이에 ‘(사)근대도시건축연구와실천을위한모임’과 ‘새건축사협의회’는 이번 공모전을 통해 학생과 일반인과 함께 광주 전남, 일신방직 공장의 역사적 가치와 교훈은 남기면서도 도시재생과 도시환경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상생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진 시간이 압축된 근대도시공간의 보존과 창의적 활용을 위해, 건축과 대지의 경계를 넘어 확장된 범위인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접근하여, 미래에도 지속가능한 도시공간이 될 수 있도록 창의적 해석과 제안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2. 공모 일정 및 요강

 

접수 및 등록

· 대상: 역사·도시·문화와 근대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에 관심 있는 분

· 기간: 202132() 423()

· 방법: 새건축사협의회 홈페이지(http://www.kai2002.org)의 공모전 안내에 따라 웹하드 내리기전용 폴더에서 사전등록 양식을 받아 내용 작성 후 이메일 접수

- 웹하드 주소: www.webhard.co.kr [ ID: remoarch2021 PW: remoarch2021 ]

- 신청서 제출 메일 주소: 2021_re-birthdesign@naver.com

· 참가비: 1팀당 90,000원(팀원 3인 이내로 제한, 4/16(금)까지 응모 철회시 전액 반환, 이후는 환불 불가)

- 입금 계좌번호: 우리은행 1005-702-585963 (사)새로운문화를실천하는건축사협의회

※ 참가비는 “팀장 명의”로만 입금(이체). 불필요한 정보 입력시 입금확인 불가함(ex. 참가비,공모전,새건협…)

참가비 현금영수증 발행 불가함 (「법인세법」 116조 2항, 「법인세법시행령」 158조 1항 1.가 에 의함)

※ 이메일 접수 및 입금 확인 후, 공모전사무국에서 접수번호 부여 예정 (입금 확인 후 이메일 개별 통보)

※※※ 이메일 접수 이후, 공모전 관련 각종 안내사항은 각 팀의 팀장 이메일(또는 핸드폰번호)로 공지 예정

· 제공자료: 대상지에 대한 연구 및 도면자료 등 [웹하드 내리기전용 폴더]

· 질의내용: 정해진 기간내 양식 작성 후 웹하드 올리기전용 폴더에 제출. 답변은 내리기전용 폴더에 게재

 

 

워크숍 (온라인 진행)

등록신청 기간 중 계획되어 있는 워크숍은 응모자의 이해를 돕고 공모전 취지에 대한 대화를 현장에서 나누는 기회로 준비된 것으로서, 각 분야의 전문가와 심사위원의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으로 진행될 것이다. 그러나 이 워크숍의 참가 여부는 권장 사항일 뿐 작품 선정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 워크숍은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심사위원

조병수(심사위원장, BCHO건축 대표)

유나경(PMA도시환경연구소 소장)

김정후(런던시티대학 도시건축정책연구소 소장)

조재원(공일스튜디오 대표)

조정구(구가건축 대표)

이현조(리가온건축 대표)

건축문화경관과장(국토부)

 

 

작품 접수

· 일시: 2021년 6월 9일(수)

· 접수: 온라인 파일 업로드 (웹하드 이용, 추후 자세히 공지)

 

 

 

 

 

 

 

제출 결과물

1. A0[841mm(너비) × 1188mm(높이)] 패널 1

-패널 전체 배치는 위아래로 긴 세로방향

(전체 가로방향 배치나 동일한 넓이의 변형 규격등은 불가)

 

2. 접수증: 사전등록양식에 첨부되어 있음

 

3. 웹하드 올리기전용 폴더에 아래의 파일을 팀별로 묶어 업로드

- A4 1장 이내로 정리한 한글 작품설명서 [공모전 웹하드에서 양식 제공]

- A0 패널 이미지 파일 1: jpg 포맷, A0 (993314032 pixel) 300 dpi로 작성한 1(60MB 이하)

 

※ 모형은 제출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패널에 모형사진 등을 넣을 수 있음

※ 입상 작품은 「2021 근대 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 도록으로 편집·출간 예정

※ 심사 후 탈락 작품은 반환하지 않음.

※ 출품작의 저작권은 출품자에게 있으며, 도록제작 및 홍보용 사용권은 (사)근대도시 건축연구와 실천을 위한 모임에 있음

 

시상 내역

· 대상(국토교통부장관상, 문화재청장상 수여예정) 2팀, 상장과 상금 각 500만원

· 특별상 1팀(광주광역시장상), 상장과 상금 300만원

· 우수상 2팀(근대도시 건축연구와 실천을 위한 모임 회장상, 새건축사협의회 회장상), 상장과 상금 각 100만원

· 특선 8팀, 상장

· 입선 다수, 상장

 

공모전 일정

· 2월 8일(월): 공모전 주제 사전공고 [새건축사협의회 홈페이지]

· 3월 2일(화): 공모전 본공고 [새건축사협의회 홈페이지]

· 32() ~ 423(): 사전등록 [웹하드 내리기전용 폴더 → 이메일 접수]

· 3월 8일(월)∼12일(금): 1차 질의 [웹하드 올리기전용 폴더]

· 4월 10일(토) 14:00∼17:00: 공모전 워크숍 [온라인 진행]

· 4월 12일(월)∼16일(금): 2차 질의 [웹하드 올리기전용 폴더]

· 6월 9일(수): 10:00~15:00 작품 온라인 접수 [추후공지]

· 6월 12일(토): 10:00~17:00 작품 심사

· 6월 14일(월): 심사결과 발표 [새건축사협의회 홈페이지]

· 6월 26일(토) 15:00∼17:00: 공모전 시상식 [장소 추후공지]

· 6월 26일(토) ~ 7월 2일(금) 09:00~18:00 공모전 당선작 온라인 전시회

 

* 각 행사 일정 및 장소는 주최 측 사정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최

(사)근대도시 건축연구와 실천을 위한 모임 + (사)새로운문화를실천하는건축사협의회

 

 

 

공모전 코디네이터

전성은 (총괄코디네이터, 전아키텍츠 대표)

윤정현 (시아플랜건축 대표)

윤지희라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교수)

이상수 (I3X 디자인 대표)

이봉수 (삼진건축사사무소 대표)

 

간사: 김지선

 

 

공식 후원

국토교통부, 문화재청, 광주광역시

 

 

문의

공모전 공식 이메일: 2021_re-birthdesign@naver.com

 
첨부파일
  • 「2021 근대 도시건축 디자인 공모전」공고문.pdf

팀원모집 글

관심 있을 만한 공고

이 공고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