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3 조기 대선을 앞두고 이재명(더불어민주당), 김문수(국민의힘), 이준석(개혁신당) 세 후보는 청년 유권자들의 표심을 잡기 위해 다양한 청년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각 후보의 주요 청년 공약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립니다.
1. 자산 형성 및 금융 지원
‘청년미래적금’ 도입: 기존 ‘청년내일채움공제’를 발전시켜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합니다.
가상자산 제도화: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 및 통합감시시스템 구축으로 안전한 투자 환경을 조성합니다.
2. 취업 및 노동 정책
생애 1회 구직급여 지급: 구직활동을 지원하는 일회성 급여를 제공합니다.
군 복무 경력 호봉 반영: 공공기관에서 군 복무 경력을 호봉에 의무 반영합니다.
3. 주거 및 복지
상생형 공공기숙사 확대 및 월세 지원 강화로 청년 주거 부담을 완화합니다.
전세 사기 피해자 보호를 위한 특별법 개정도 추진합니다.
4. 노동시간 단축
주 4.5일제 도입: 임금 감소 없이 주 36시간 근무 체제로 전환을 추진합니다.
1. 주거 지원
‘3·3·3 청년주택’ 공급: 결혼 3년, 첫 아이 3년, 둘째 아이 3년 등 총 9년간 주거비를 지원하는 주택을 매년 10만 호 공급합니다.
대학가 반값 월세존 조성 및 1인형 아파트·오피스텔 공급 확대를 추진합니다.
2. 취업 및 노동 정책
공정채용법 제정: 채용 과정의 공정성을 확보합니다.
군 가산점제 도입 및 군 경력 인정 제도를 통해 군 복무자의 취업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3. 교육 및 연금
AI 청년 인재 20만 명 양성 계획을 수립합니다.
국민연금 2차 개혁을 통해 청년 세대의 부담을 완화합니다.
1. 금융 지원
‘든든출발자금’ 대출: 최대 5,000만 원 한도의 용도 제한 없는 저리 대출을 제공하여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합니다.
2. 연금 개혁
신·구 연금 분리: 기존 연금과 새로운 확정기여형 연금을 분리하여 재정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3. 노동 및 지방 분권
최저임금 결정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위임하여 지역별 현실을 반영합니다.
4. 교육 및 청년 지원
지방대학과 고교 연계형 대학 지원 및 청년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는 자금 지원을 전국적으로 확대합니다.
[대선공약 비교]⑦노동 정책…이재명 "주4.5일제 실시" 김문수 "주52시간 규제 개선"
"2030 마음을 훔쳐라"…대선 후보들 청년정책·SNS 홍보전 치열
[21대 대선] 김문수, 청년 지지자들과 청계광장 유세…“우리가 원하는 건 공정과 기회”